메뉴 검색
대사관•영사관 사칭 사기꾼들이 활개치고 있다 윤병진•안상민 기자 2025-04-08 12:23:15

한국 외교부 직원 사칭범들미주한인 피해자들 상대로 개인정보 빼내거나 금전 송금 요청

 

전화 또는 문자 받은 한인 피해자 속출 ••• 각 지역 공관과 한인회에서 연방수사국(FBI)에 수사요청 해야



 

       미주한인사회에서 동족을 상대로 한 스캠 범죄가 끊이질 않고 있다.

     

뉴저지 포트리에 거주하는 A(49)씨는 얼마 전 시카고총영사관으로부터 전화 한통을 받았다자신을 김모 영사라고 밝힌 사람은 씨에게 최근 인천공항으로 입국하던 한 중국인이 세관에 잡혔는데 씨 이름으로 된 신용카드를 갖고 있었다이와 관련해 본국으로부터 조사 의뢰가 들어왔으니 조사에 협조해 달라고 말했다.


이 같은 말에 놀란 씨는 영사라고 주장한 사람의 요청대로 개인신상정보와 신용카드 번호를 넘겨줬고 그가 소셜 시큐리티’ 번호까지 요구하자 이상한 마음이 들어 지금 바쁜 일이 있으니 잠시 후 전화 하겠다며 전화를 끊었다.


전화를 끊은 씨는 직장에 출근한 남편에게 이 같은 사실을 알렸고 씨의 남편은 확인 차 시카고총영사관에 전화를 걸어 김모 영사를 찾았다하지만 문제의 영사는 시카고총영사관에 근무하지 않는 유령인물이었다.


이에 씨는 부랴부랴 신용카드 회사에 전화를 걸어 이 같은 사실을 알리고 카드 사용을 정지 시켰다


씨는 사기범이 내 생년월일집주소 등을 모두 알기에 불안한 마음이 크다면서 한국어 유창하고 예의바르게 서울 말씨를 쓰며 외교부 소속이라고 하길 래 믿은 내가 바보라고 속상해 했다.


최근 들어 씨의 경우처럼 미주한인들 상대로 대사관영사관 직원을 사칭하는 스캠(Scam : 신용사기전화 또는 문자가 급증하고 있어 주의가 요망된다


흥미로운 것은 뉴욕 거주자라고 해서 뉴욕총영사관을 사칭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LA 거주자에게 뉴욕총영사관이라며 전화를 걸기도 한다.



                   최근 애틀랜타총영사관이 홍보한 주미대사관 사칭 금융사기 보이스피싱 범죄에 대한 대응 행동요령 안내문.



LA에 거주하는 (52)며칠 전 뉴욕총영사관이라면서 전화를 걸어와 30분 넘게 통화 한 적이 있었다내용은 누가 한국에서 내 신용정보를 도용해 조사 할 것이 있다는 것 이었다고 말했다


씨는 개인정보를 꼬치꼬치 묻는 것이 너무 이상해 바쁘다는 핑계를 대고 전화를 대충 끊었다너무나 이상한 것은 사기범이 걸어 온 전화번호가 확인결과 뉴욕총영사관이 맞았다는 점이라고 덧붙였다.


미주한인들의 피해사실은 한인들이 많이 이용하는 인터넷 커뮤니티마다 넘쳐난다워싱턴DC 소재 주미대사관을 사칭한 전화부터 휴스턴영사관 소속 영사 사칭 전화까지 각 주미공관을 내세운 사기범들의 행각은 다양하다


또한 전화 문자를 통한 주미공관 사칭 연락도 자주 발생하고 있다.


유타주 솔트레이크시티에 거주하는 (56)얼마 전 뉴욕총영사관이라며 문자 메시지를 받았다자신들도 한국 대검찰청으로부터 연락을 받았는데 내가 마약사건에 연루 됐다고 하더라


나는 한국에 안 간지가 20년도 넘었는데 무슨 마약사건인가너무 문자 메시지가 이상해 링크를 클릭하지 않고 그냥 삭제해 버렸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해 뉴욕경찰청(NYPD)의 한 관계자는 스캠문자를 클릭하는 순간 피해자의 전화기에 스파이 앱이 깔리게 돼서 휴대전화에 들어있는 모든 정보가 털리게 된다절대 문자 메시지를 누르지 말고 블록 처리한 후 삭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뉴욕 플러싱에 거주하는 씨는 며칠 전 뉴욕총영사관 오세현 영사라는 사람으로부터 세 번이나 전화가 왔길래 받았더니 한국에 있는 누군가가 내 이름으로 휴대전화를 개통했다고 했다그러면서 내 개인정보를 물어 보더라고 말했다


이어 씨는 너무 이상해서 전화를 끊고 뉴욕총영사관에 전화를 해 확인해 보니 오세현 영사란 사람은 없었다개인정보를 제대로 주지 않아 다행이라고 생각한다고 전했다.


보스턴에 거주하는 (65)는 보스턴영사관 소속 이모 영사로부터 자신이 사기사건에 관련됐다며 급히 영사관으로 오라는 전화를 받은 경우이다


씨는 영사라는 사람이 영사관 앞에서 급히 만나자고 해서 영사관으로 가 한 시간을 기다렸다가 돌아왔다면서 확인결과 영사관에 해당 영사는 없었지만 사기범들이 어떻게 내 전화번호와 이름을 알았는지 걱정이 앞선다고 말했다.


이처럼 미국 전역 한인사회에서 동포들을 대상으로 한 공관 사칭 사기범죄가 끊이질 않고 있다사기범들은 모두 미국에 거주하는 한인들로 파악되고 있다이들은 동족을 상대로 끊임없이 사기행위를 벌이고 있는 것이다.


뉴욕 정의사회실천시민연합의 크리스 강 사무국장은 뉴욕이나 LA 같은 특정지역이 아니라 미국 전체에서 일어나는 범죄행위이므로 연방수사국(FBI)이 나서야 할 문제라면서 개인이 FBI에 신고하는 것은 부담될 수 있으므로 각 지역 공관과 한인회가 나서서 수사요청을 해야한다고 말했다.


강 국장은 피해자가 속출하고 있는데 신고를 않고 있는 주미대사관이나 각 지역 영사관도 문제라고 강조한 후 각 공관들은 적극적인 피해 방지 홍보활동을 통해 동족을 상대로 한 범죄행위를 미연에 방지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윤병진안상민 기자    




기획취재 더보기

주소를 선택 후 복사하여 사용하세요.

뒤로가기 새로고침 홈으로가기 링크복사 앞으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