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검색
<기고> 재외동포청은 인천이 최적지이다 김대중 인천광역시 시의원 2023-03-06 11:59:55

- 재외동포청 입지 결정은 정책적 판단과 실효성 측면에서 검토돼야 한다






2021년말 지구촌 곳곳에 사는 재외동포는 732만명으로 대한민국 인구의 14%에 달한다. 1997년 재외동포단이 설립된 이후 25년간 재외동포가 약 32% 증가한 것이다. 그런데도 현재의 재외동포 관련 정책에는 이렇다 할 컨트롤 타워가 없다. 바로 재외동포청 신설이 필요한 이유다.

지난 2월 '정부조직법 개정안'이 국회를 통과하면서 재외동포청 신설이 공식화됨에 따라 유치활동 선두 주자인 인천을 포함하여 대전, 광주, 제주 등 전국 지자체에서 재외동포청 유치를 위한 경쟁이 뜨거워지고 있다.

인천시는 재외동포청 신설을 예상해 지난해 9월부터 유정복 시장을 필두로 5개월간 유럽 한인총연합회, 우즈베크 고려인문화협회, 하와이 재미교포단체를 만나 인천 유치 지지를 얻어 내는 등 각고의 노력을 기울여 왔다.

또한 행정안전부 장관과 외교부 장관, 지역 국회의원 등과 만나 재외동포청 인천 유치의 필요성을 피력하고 협조를 지속해서 요청함으로써 재외동포청 유치에 한발 앞서 나가고 있다.







그러면 왜 재외동포청을 다른 지역이 아닌 인천에 유치해야 하는가? 인천이 가진 도시의 여러 특성과 잠재력을 고려하면 그 명분은 충분하다.

첫째, 인천은 지정학적으로 재외동포가 접근하기에 최고의 입지적 장점을 가지고 있는 도시이다. 인천은 대한민국 관문인 인천국제공항과 인천항이 있어 재외동포가 방문하여 모든 행정적 지원과 편의를 신속히 제공받을 수 있다.

재외동포에게 원스톱 민원서비스를 제공한다는 재외동포청 설치 취지에 가장 부합하는 것이다. 오랜만에 고국을 방문한 재외동포가 인천으로 입국해 대전, 광주 등으로 3~4시간을 더 이동하게 된다면 바쁜 일정에 버려지는 시간과 그에 수반되는 각종 불편은 불 보듯 뻔하다.

둘째, 인천은 재외동포와 관련된 역사적 연결성이 뚜렷한 도시이다. 우리나라 최초 이민은 1902년 12월 22일 인천 제물포항에서 121명이 출발하여 시작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인천은 대한민국 최초 근대 이민의 출발지로써 국내 유일의 한국이민사박물관과 하와이 교민 성금 등으로 건립된 인하대학교가 위치하고 있어 재외동포와 역사적 유대관계를 지속하기에 더없이 좋은 여건을 가지고 있다. 이런 입지적, 역사적 연결성은 재외동포와 관련한 각종 행사를 유치하는 데에 너무나도 적합하다.

마지막으로 인천은 재외동포를 위한 최적의 경제·정주 여건을 지닌 도시이다. 전국 최초, 전국 최대규모의 경제자유구역을 가지고 있고 대한민국 최초 외국인 주택단지와 재외동포를 위한 위한 해양관광레저단지 한상드림아일랜드, 인천글로벌캠퍼스, 녹색기후기금(GCF) 등 다수의 국제기구 등이 입지해 있다. 재외동포청이 인천에 입지함으로써 단순한 중앙행정기관 기능을 넘어 재외동포 네트워크를 통한 국가 전략적 투자유치 거점으로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다는 얘기다.

이런 다양한 강점을 가지고 있는 도시이기 때문에 각국의 재외동포 사회가 인천시 재외동포청 유치를 지지하는 게 아닐까? 재외동포청 입지 결정은 정치적 결정이 아닌 온전히 정책적 판단과 실효성 측면에서 접근하고 검토되어야 한다. 이미 모든 합리적 근거가 인천이 재외동포청의 최적지임을 가리키고 있다.

글쓴이 / 김대중 인천광역시 시의원(국민의힘)




                                                                                 김대중 인천광역시 시의원.




기획취재 더보기

주소를 선택 후 복사하여 사용하세요.

뒤로가기 새로고침 홈으로가기 링크복사 앞으로가기